Page 22 - 2019년 1월호 맑은샘
P. 22

건강상식



                                       다뇨증


                                                                      이성철 집사

         건강한 성인의 경우 하루 소변 량은 평상시 대략 1600ml(미리 리터)정도이다. 정상 신장은 체내 수분 상
        태의 변화에 따라 소변을 농축 또는 희석시킴으로서 소변 량을 조절한다. 보통 사람들은 대부분 하루에 약
        4~6회, 그리고 대개 낮에 소변을 본다. 보통 성인은 하루 700ml(3컵)에서 3000ml 사이의 소변을 내보낸
        다. 임상적으로 하루 소변 량이 500ml 미만인 경우 핍뇨, 100ml 미만이면 무뇨, 3000ml 이상이면 다뇨라
        하여 정상적인 상태와 구분한다. 체중 70kg 성인을 기준으로 하루에 3000ml 이상으로 배뇨량이 많거나 주
        간에 8회 이상 빈뇨, 야간에 2회 이상 소변을 보기 위해 잠에서 깨는 경우, 수면 중 본인도 모르게 배뇨하거
        나 소변을 흘리는 등의 증상을 호소할 때 다뇨증 증후군에 포함된다.
         다뇨증의 원인은 뇌하수체에서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가 되지 않는 중추성 요붕증, 항이뇨 호르몬은 정상
        적으로 분비되지만 신장 기능 이상에 의한 신장성 요붕증 또는 정신병 환자가 물을 과다하게 섭취하는 경
        우를 의심할 수 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는 당뇨병 환자에서 혈당조절이 불충분할 때 오는 삼투성 이뇨에
        의한 다뇨증이 더 흔하다. 소변 량이 밤에 많은 경우는 야뇨증이라 한다. 야뇨증은 정상적으로 노인에서 자
        주 나타날 수 있다. 정상성인의 경우 밤에 생성되는 소변 량은 낮에 생성되는 소변 량에 비해 반 정도로 적
        으나 나이가 들면서 상대적으로 밤의 소변 량이 점차 늘면서 60세가 되면 낮과 밤의 소변생성량이 비슷해
        진다.  이러한 이유로 노인은 밤에도 자다가 화장실에 가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노화과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특정 신장질환(간질 신장염 또는 낫적혈
                                               구 빈혈에 의한 신장 손상 등)이 있어도 이 질환
                                               에 의해 신장에서 재흡수 되는 체액 량을 감소
                                               하므로 과도하게 배뇨할 수 있다. 그 외 저녁 또
                                               는 밤에 물을 많이 먹거나, 커피 또는 알코올을
                                               섭취한 경우에는 이들의 이뇨작용으로 일시적
                                               인 야뇨증을 보일 수 있다. 또한 부종이 있는 사
                                               람에서 낮에 활동 후 밤에 누우면 부종상태로
                                               세포간질 내에 축적되어 있던 체액이 혈관내로
                                               이동함으로써 소변 량이 늘어나서 야뇨상태가
                                               될 수도 있다. 소변보는 횟수는 많지만 하루 소
                                               변 량은 많지 않은 경우를 빈뇨라 하는데 이는
                                               다뇨증과 구분되어야 한다. 빈뇨는 대개 세균
                                               에 의한 방광점막의 염증성 변화(여성과 아동에
                                               게 가장 흔한 원인), 방광의 이물질, 결석, 또는

      22
      22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